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문화누리카드 온라인 사용처 발급 잔액조회 정보

문화누리카드 는 연간 10만 원에서 11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문화예술,국내 여행, 체육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로 그동안은 선착순으로 지급했지만 올해부터는 전원에게 지급됩니다. 2023년 11월 30일 수요일까지 발급이 가능하니 발급 대상자 분들은 늦지 않게 서둘러서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자 문화누리카드 발급 가능 대상자는 6세 이상의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게 발급됩니다. 2022년에 문화누리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셨다면, 9월 1일(목)부터 올해 발급한 문화누리카드에 1만 원이 추가로 충전됩니다. 올해 아직 발급받지 않은 대상자의 경우, 2022년 9월 1일 (목) 오후 6시 이후 온라인, 모바일앱, 주민센터를 통해 발급받으시기 바랍..

돈이되는 정보 2022. 9. 3. 15:02
2023년 출산지원금 200만원 지급 첫만남이용권

출산 예정이신 분이라면 출산지원 혜택을 놓치지 말고 꼭 받으셔야 합니다. 출생 신고 후 지원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마시고 꼭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출산지원 혜택 중 하나인 첫만남이용권에 대해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만남이용권 한 명당 200만 원지급 첫만남이용권은 현금이 아닌 카드사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이 됩니다. 한 명당 200만 원이지급되며, 쌍둥이는400만 원이 지급 됩니다. 사용기한은 첫만남이용권 지급 후 1년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현금 지원이 아닌 바우처를 통한 포인트로 지급 한 명 당 200만 원 지급 (쌍둥이는 400만 원 지급) 사용기한 : 첫만남이용권 지급 후 1년 동안 사용 가능 사용 가능업종 : 쿠팡, 이마트, 산후조리원, 배달어플 등 에서 사용 가능 (..

돈이되는 정보 2022. 9. 2. 18:26
2023년 최저임금 시급 주휴수당 월급 실수령액 계산

내년도 2023년 최저임금 시급이 9,6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사실 최저임금이 계속해서 오르는 것이 근로자 입장에서도 고용인 입장에서도 참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저임금이 높아지면 근로자의 소득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지만, 자영업의 소득이 감소하는 등 부정적인 효과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는데 임금은 제자리일 수는 없겠죠? 이번엔 2023년 최저임금은 얼마인지 실수령액은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시급과 월급은 얼마? 최저임금은 연도별 물가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합니다. 내년 2023년도 적용되는 최저임금 시급은 9,620원입니다. 월급의 계산은 주휴수당으로 인해 계산이복잡해지는데,기본 주 40시간이 근무시간으로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시간은 ..

돈이되는 정보 2022. 9. 2. 16:02
2023년 부모급여 소급적용 영아수당 월 70만원 받는다

2023년 부모지급 은 만 0~1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구에게 월 35만 원 ~ 7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만 0세 부모에게 100만 원, 만 1세 부모에게 5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그리고 가장 궁금해하시는 2022년 출생 소급적용 여부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모급여 란? 부모급여 는 기존 영아수당에서 지원금액을 더해 지원을 늘려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영아수당 은 0세에서 1세까지의 부모를 위해 일정액의 지원금을 주는 제도로 매월 30만 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부모급여는 영아수당에서 지원금이 늘어난 제도로 명칭이 영아수당에서 부모급여로 변경된 제도입니다. 부모급여 금액 2023년부터 만 0세 아동 양육가구의 경우 기존 영아수당 월 30만원에 부모급여..

돈이되는 정보 2022. 9. 1. 17:37
자진 퇴사 후 실업급여 조건 신청방법

자발적 퇴사라도 법으로 정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임금체불 및 지연, 30% 이상 지급받지 못한 경우가, 질병으로 인한 자진 퇴사, 사업장 이전, 전근 등으로 인해 통근 시간이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 후 1년이 지나지 않아야 신청이 가능한 점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수급 조건 사업주의 임금체불 또는 근로 조건 변경으로 인해 퇴사 사업장의 불합리한 차별 대우로 인한 퇴사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퇴사 사업장의 이전으로 출퇴근이 어려운 경우 (통근 시간이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부모, 친족의 질병이나 부상으로 30일 이상 간호해야 하는데 휴직이나 휴가가 허용되지 않을 경우 임신, 출산, 만 8세 이하 ..

돈이되는 정보 2022. 9. 1. 10:10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